사설

[사설] 道 직장인 급여 최하위권, 시급한 좋은 일자리 대책

{wcms_writer_article}

연말정산과 각종 공제의 기준이 되는 도내 직장인의 연간 총급여액이 전국 최하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1위 울산과의 격차는 1,160만원에 달한다. 행정안전부의 ‘시·도별 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현황(원천징수 의무자 소재 기준)’에 따르면 2022년 기준 도내 근로자의 1인당 1년 총급여액은 평균 3,576만원이다. 이는 전국 평균(4,213만원)보다 637만원 적다. 17개 시·도 중에서는 제주(3,570만원)에 이어 가장 낮은 수준이다. 2년 연속 평균 급여가 가장 높은 울산(4,736만원)과 강원의 급여 격차는 1,160만원으로 2021년 1,056만원보다 더 커졌다. 연평균 급여가 4,000만원에 못 미치는 지자체는 강원을 포함해 제주(3,570만원), 대구(3,580만원), 전북(3,586만원), 부산(3,639만원), 광주(3,667만원), 충북(3,829만원) 등 10개 지역이었다.

타 지역과 급여가 연간 1,000만원 이상 차이가 나면서 실업 상태이거나 아르바이트 등 비정규직 외에 중소기업에서 근무하는 청년 근로자 역시 임금이 적어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다. 지역에서는 정규직 취업 문을 통과해도 빈곤 상태를 벗어나기 힘들자 ‘탈강원’을 하는 청년이 많아지고 있다. 소득 격차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그 간극이 더 벌어지고 있다는 점은 심각한 문제다. 급여 격차는 임금 구조에서 절대적 우위에 있는 곳을 찾아 지역 청년들이 떠나는 악순환을 불러온다. 평균 임금보다 낮은 임금 구조를 보이고 있는 지방의 입장에서는 언제 선순환 체제로 돌아설지 기약할 수 없는 상황이 심화되고 있는 것이다.

비단 연봉의 문제만이 아니다. 재직 시 연봉의 수준은 결국 국민연금 등 노후 소득에도 영향을 끼치는 구조이니 재직 중이나 은퇴 후나 지방과 서울의 격차는 전방위에서 발생한다. 이로 인한 양극화의 골은 더 깊어질 수밖에 없다. 이는 공무원을 제외하면 대기업, 공기업 등의 일자리는 거의 찾을 수 없는 도내 고용시장의 구조 탓이 가장 크다. 상대적으로 연봉이 높은 공공기관 지방 이전 등 정부가 나서서 격차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적극 추진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지방으로 옮기는 정책적 고려가 절실한 시점이다. 다른 시·도에 비해 소득이 낮은 것은 상대적으로 지역의 발전이 더딘 것도 원인일 것이다. 도의 경우 오히려 갈수록 뒤처지는 것이 아닌가 의심이 들 정도다. 따라서 균형발전을 위한 지역의 성장동력을 마련해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고 제대로 된 기업을 키우기 위한 지자체와 지역 상공계, 학계 등의 협력과 발전 전략이 요구된다.

{wcms_writer_article}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