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월요칼럼]청년이 살고 싶은 강원

{wcms_writer_article}

박정규 한국은행 강원본부장

지난 한 해 동안 도내 이동인구는 동해안과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약 1,400명이 줄었다. 춘천시와 원주시는 총 2천여명이 늘었지만 주요 도시의 증가분만으로 도내 인구 유출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그 중에서도 도를 떠나간 청년은 3,950명이나 되었다. 강원대학교의 신입생 모집인원이 약 3,400명 정도인 점을 고려하면 이보다도 많은 청년들이 우리가 사랑하는 강원특별자치도를 떠난 것이다.

최근 워케이션(workation)이 유행이다. 이는 휴가지에서 일과 휴가를 병행(work+vacation)하는 원격 근무제도를 말한다. 작년 11월 대한상공회의소의 설문 결과에 따르면 강원지역이 워케이션 선호 지역으로 전국 2위를 차지했다. 대한민국의 척추인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천혜의 자연경관을 자랑하는 강원. 해마다 셀 수 없이 많은 국내외 관광객들이 찾는 이곳에서 청년들은 왜 떠나고 있는 것일까?

첫 번째는 양질의 일자리 부족이다. 대기업과 거점산업이 부족하다보니 급여가 적을 수밖에 없다. 게다가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일·생활 균형, 소위 ‘워라벨’(work and life balance) 또한 전국 최하위 수준으로 청년의 도내 취업 유인이 낮다.

두 번째는 미흡한 정주 여건이다. 강원지역은 노후주택 비중이 전국에서 4번째로 높다. 소득 대비 개인 서비스 및 공공요금도 전국 평균보다 비싸 청년의 생활비 부담이 만만치 않다.

세 번째는 열악한 교육·보육 여건이다. 우선, 대학 경쟁력이 높지 않다. 도내 대학 재학생 모집 미달 인원은 약 2,500명으로 전국에서 서울, 전남 다음으로 가장 높다. 게다가 도 특성상 넓은 면적으로 인해 보육시설 접근성이 떨어져 양육 여건마저 열악하다.

그렇다면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첫째, 청년이 일하고 싶은 강원으로 도약해야 한다. 높은 급여를 보장하고 청년층이 선호하는 전문·관리직종 중심으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 현재 추진 중인 춘천 기업혁신파크와 동해·삼척 수소 저장운송 클러스터 조성과 같은 첨단산업단지 조성을 통해 대기업과 전문연구기관 유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이렇게 창출된 일자리를 지자체의 일·생활 균형 관련 조례 제정 등을 통해 꾸준히 유지해 나가야 한다.

둘째, 청년이 머물고 싶은 강원으로 발돋움해야 한다. 단기적으로는 도내로 전입하는 청년에게 월세를 폭넓게 지원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청년 밀집 지역인 대학가나 군부대 인근에 주택을 신설하여 주거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더불어 상대적으로 높은 강원지역의 물가 수준을 고려하여 청년층의 생활비 부담을 낮출 수 있도록 춘천시가 현재 시행 중인 ’대학생 전입 장려금 지급‘과 같은 청년 지원 정책을 다른 시군에도 확대 적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청년이 공부·육아하고 싶은 강원으로 성장해야 한다. 산업과 대학이 연계하여 대학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강원대와 한림대의 글로컬 대학 선정 기회를 십분 활용하여 현재 추진 중인 다양한 미래 산업단지 입주 희망 기업들과 졸업 후 채용을 조건으로 하는 학과를 신설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미래산업보다 중요한 우리의 미래, 곧 아이들의 양육 여건 개선도 미룰 수 없는 과제다. 원주시의 경우 보육시설 부족으로 인한 돌봄 초과수요를 해소하기 위해 다음 달부터 경동대와 연계한 돌봄 교실을 실시할 예정이다. 이처럼 민간참여형 보육 프로그램을 타 시군에도 확대 제공함으로써 보육 여건을 개선해야 한다.

미국의 저명한 경영학자 피터 드러커는 “미래를 예측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미래를 창조하는 것이다(The best way to predict the future is to create it)”라고 말했다. 이처럼 예측하기 어려운 미래라면, 우리가 꿈꾸는 ‘청년이 살고 싶은 강원‘의 모습을 먼저 구체적으로 그려놓고 붓과 물감으로 하나씩 채워나가 보면 어떨까? 필자가 제안하는 정책들은 청년들이 도를 떠나지 못하도록 애써 붙잡는 “대응 방안”이 아닌, 청년들이 먼저 강원을 찾아오게 하는 미래 “창조 방안”의 붓과 물감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wcms_writer_article}

가장 많이 본 뉴스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