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9개 읍·면 중 1곳 뿐” … 민방위 대피소 없는 농촌

{wcms_writer_article}

주민 수용률, 市 200% vs 郡 100% 이하
아파트 없는 농촌 … 지하 공간 확보 어려워
강원도 “대피소 지정 기준 완화 정부에 건의”

민방위 대피소 사진=연합뉴스

강원도에 민방위 대피소가 없는 농촌이 수두룩 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 경보가 울리면 주민들이 피할 수 있는 지하 공간이 부족해 지자체들이 대피소 확보에 애를 먹고 있다.

1일 강원도에 따르면 '민방위 대피소 확보율'(인구 대비 수용 가능인원)이 원주 327%, 춘천 278%, 속초 255%, 강릉 238% 등이었지만, 홍천·양양 98%, 화천 95%, 영월 88%, 횡성 85%로 일부 군 지역은 100%에 미치지 못했다.

민방위 대피소에 지역 주민을 모두 수용할 수 없는 지역이 5곳이나 되는 것이다.

세부 상황은 더 열악하다.

횡성군은 9개의 민방위 대피소가 있지만 모두 횡성읍에 몰려 있다. 나머지 8개면은 민방위 대피소가 없다. 홍천군도 19개 대피소가 있지만 모두 홍천읍에 있고 9개 면은 없다.

이처럼 열악한 원인은 정부 기준을 충족시키는 지하 공간이 부족하다.

2023년 민방위 업무 지침에 따르면 방송 청취가 가능하고, 벽 두께 30㎝ 이상, 천정 높이 2.5m 이상, 바닥 면적 100㎡ 이상(농어촌은 60㎡ 이상), 출입구 2개 이상, 유사 시 즉시 개방이 가능해야 하는데 이를 충족시키는 곳은 대부분 '아파트 지하 주차장'이다.

춘천, 원주, 강릉 등 시 지역은 아파트 밀집 지역이지만, 면 단위에는 없는 실정이다.

그나마 접경지 군지역(철원·화천·양구·인제·고성)과 춘천 사북면은 '접경지역지원특별법'에 따라 정부가 대피소 설치를 지원하고 있다. 1개소당 6억여원의 예산이 드는데 이 중 절반은 정부가 지원한다.

도내 접경지에는 정부 지원 대피소 50곳이 구축됐고, 올해 철원 1곳에 추가로 지어진다.

이러면서 '접경지가 아닌 군 지역'은 민방위 대피소의 사각지대가 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정부에 민방위 대피소 지정 기준을 완화해 달라고 지속적으로 건의 중"이라며 "해당 시·군과 협의해 대피소를 확충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wcms_writer_article}

후보자 선거 광고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